REGULATORY STRATEGY CENTER(RSCP) 융복합의료제품 촉진지원센터

융복합의료제품을 통한 미래로의 도약을 함께 만들어갑니다

제1회 융복합 세미나 성료(24. 12. 20.)

융복합바이오의료제품 제조실증사업단은 산업통상자원부 연구개발과제 「글로벌 진출을 위한 융복합 바이오의료제품 맞춤형 제조실증 시스템개발(RS-2024-00396931)」과 「의약품과 의료기기의 원재료 최적화 및 조합설계 기반 비임상용 및 임상용 융복합바이오의료제품 제조기술 및 검증(RS-2024-00398522)」 사업를 수행하고 있습니다. 본 사업의 목적은 의약품과 의료기기의 융복합을 통한 환자맞춤형 융복합바이오 의료제품 개발 및 제조 실증을 기반으로 하여 국내 기업의 글로벌 시장진입을 선도하는 것입니다.  융복합바이오의료제품 제조실증사업단은 상기 사업의 일환으로 2024년 12월 20일 오후 15시부터 17시까지 강남구 역삼동 아세아타워  10F 사이넥스 G 회의실에서 제1회 융복합 세미나를 성공적으로 개최하였다.   금번 융복합 세미나에서는 "혁신형 융복합바이오 의료제품 제조기술 개발 및 실증 사업"을 수행하고 있는 1내역 사업의 3개 기관의 1차년도 연구결과를 발표하고, 전문위원들의 피드백을 듣는 순서로 진행되었다.  첫 번째 발표는 인체이식형 융복합바이오 의료제품 최적화 공정설계 및 검증기술 개발 연구의 1차년도 연구결과에 대하여 (주)사이넥스 신동완 이사가 발표하였다.  두 번째 발표는 인공지능 기반 세포-생체재료 복합 지지체의 최적 설계 및 제조 생산기술 개발 연구의 1차년도 연구결과에 대하여 동국대학교 이민호 교수가 발표하였다. 세 번째 발표는 글로벌 진출을 위한 융복합바이오 의료제품 맞춤형 제조실증 시스템 개발 연구의 1차년도 연구결과에 대하여 아주대학교 김주희 교수가 발표하였다. 네 번째 발표는 의약품과 의료기기의 원재료 최적화 및 조합설계 기반 비임상용 및 임상용 융복합바이오 의료제품 제조기술 및 검증 연구의 1차년도 연구결과에 대하여 아주대학교 김주희 교수가 발표하였다. 

Center Program

융복합의료제품을 통한 미래로의 도약을​ 함께 만들어갑니다​

비임상시험, 임상시험, 허가심사,​ 제조품질, 유통, 시판 후 사용에 관한​ 국내, 미국, 유럽, ICH의​ 규제 및 가이드라인을 제공합니다.​

Information Portal

식품의약품안전처,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등 국내 기관 비롯 해외 FDA, EMA, ISO, ICH 등의 의약품, 바이오 의약품, 의료기기, 융복합 의료제품 인허가 단계별 허가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정보 포털에서 찾으실 수 있습니다.

  • 비임상시험

    의약품 독성시험 가이드라인 의약품 약리시험 기준 의료기기 생물학적안전성 평가

  • 임상시험​

    임상시험 설계​ 임상시험 가이드라인​ 임상시험 항목​

  • 허가심사

    융복합 의료제품 분류 기준 기술문서(CTD, STED) 작성 예시 허가심사 가이드라인

  • 제조품질

    화학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생물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 의료기기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

  • 유통

    의약품 성상표기 가이드 의료기기 유통 품질 관리기준 의료기기 광고사전심의 가이드

  • 시판 후 사용

    의약품 환자용 사용설명서 해설 의료기기 재심사 업무 가이드 첨단바이오의약품 품목허가심사

Study Program

실무에 적용 가능한 교육을 통해 현장형 전문 지식을 함양하고, 분류부터 시판 후 관리까지 모든 단계를 아우르는 전문가를 양성합니다. 글로벌 허가규제체계 및 최신 이슈 교육을 통한 수강자 역량 강화를 위해 다양한 학습 콘텐츠 생성 및 활용을 통해 융복합 의료제품 규제과학 전문인력 양성을 하고 있습니다.

Consulting

기업의 융복합 의료제품에 관한 연구개발, GMP, 임상시험, 비임상시험, 인허가, 사업화의 고민을 융복합 의료제품 촉진지원센터에서 컨설팅 받으실 수 있습니다.

Knowledge Cluster

다양한 연구목적에 맞는​ 지식 클러스터를 활용해 나만의 연구 환경을 생성하세요.​

  • 01
    지식 클러스터 생성​​

    융복합 의료제품의 법·규제, 연구개발 등​ 연구목적에 따라 지식 클러스터를 생성하세요.​​

  • 02
    팀원 초대

    기초과학, 의약학, 공학, 법학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와​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해보세요.​

  • 03
    연구 개발​

    온라인 회의, 파일 및 의견 공유로​ 연구를 쉽게 수행할 수 있습니다.​​

지식 클러스터 생성​ →

Center News